피앤피뉴스 - 이천수는 악동인가? 성자(聖者)인가?

  • 흐림군산17.0℃
  • 흐림태백13.7℃
  • 흐림밀양20.9℃
  • 흐림산청18.8℃
  • 흐림함양군18.9℃
  • 흐림거제21.5℃
  • 흐림제천16.2℃
  • 흐림경주시19.1℃
  • 흐림철원15.5℃
  • 구름많음백령도12.0℃
  • 비목포18.6℃
  • 흐림부여17.0℃
  • 구름많음남해22.9℃
  • 흐림고창18.0℃
  • 흐림성산23.9℃
  • 흐림영월16.1℃
  • 흐림춘천16.2℃
  • 흐림고창군17.6℃
  • 흐림봉화15.8℃
  • 구름많음광양시22.4℃
  • 흐림합천19.4℃
  • 흐림인제14.9℃
  • 비대전17.2℃
  • 흐림영주16.2℃
  • 흐림정읍17.4℃
  • 흐림남원19.0℃
  • 구름많음여수22.9℃
  • 흐림영덕16.6℃
  • 흐림북부산22.7℃
  • 흐림진도군19.7℃
  • 흐림서산16.2℃
  • 비북강릉15.3℃
  • 흐림부안17.6℃
  • 흐림북춘천16.4℃
  • 흐림상주17.0℃
  • 흐림서청주16.7℃
  • 흐림고흥22.9℃
  • 흐림의령군19.2℃
  • 흐림파주14.6℃
  • 흐림울진17.0℃
  • 흐림금산18.0℃
  • 비청주17.6℃
  • 흐림임실18.1℃
  • 흐림영광군18.1℃
  • 흐림보령16.7℃
  • 흐림대관령11.9℃
  • 흐림구미18.0℃
  • 흐림보은17.4℃
  • 흐림창원21.4℃
  • 흐림거창18.3℃
  • 흐림장수17.9℃
  • 흐림충주17.3℃
  • 흐림이천17.4℃
  • 흐림동해15.9℃
  • 흐림해남19.9℃
  • 흐림원주17.4℃
  • 비전주17.3℃
  • 흐림부산22.5℃
  • 흐림문경17.5℃
  • 흐림서울15.3℃
  • 흐림울산19.5℃
  • 흐림동두천14.3℃
  • 흐림강릉16.2℃
  • 흐림강화14.1℃
  • 비대구18.7℃
  • 흐림강진군20.7℃
  • 흐림영천17.8℃
  • 흐림천안16.8℃
  • 구름많음보성군22.6℃
  • 흐림장흥21.5℃
  • 흐림북창원20.9℃
  • 흐림청송군16.9℃
  • 흐림흑산도17.9℃
  • 흐림양평17.3℃
  • 흐림수원15.4℃
  • 흐림순창군19.1℃
  • 흐림홍성16.7℃
  • 흐림추풍령16.7℃
  • 흐림정선군15.8℃
  • 흐림인천14.5℃
  • 흐림완도21.4℃
  • 흐림세종16.4℃
  • 비포항18.8℃
  • 흐림홍천16.3℃
  • 흐림속초15.8℃
  • 구름많음서귀포26.1℃
  • 흐림통영21.5℃
  • 흐림순천19.3℃
  • 비광주19.1℃
  • 흐림김해시21.6℃
  • 흐림의성17.7℃
  • 흐림양산시21.9℃
  • 흐림진주21.1℃
  • 비안동16.9℃
  • 비울릉도18.3℃
  • 흐림고산21.6℃
  • 비제주22.5℃

이천수는 악동인가? 성자(聖者)인가?

마성배 기자 / 기사승인 : 2023-07-07 13:43:00
  • -
  • +
  • 인쇄

한승범.jpg

한승범(버네이즈 아마존출판대행 대표)

 

이천수를 직접 본 것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때쯤이었다. 압구정동의 디자이너 클럽 건물을 통째로 사용하던 캘리포니아 피트니스센터에서 한창 운동할 때였다. 아마도 이천수는 친구 트레이너의 위신을 세우기 위해 일부러 방문한 것 같았다. 구름처럼 사람들이 몰려들었지만 쑥스러워 다가가지 못했다. 여담으로, 3명 가족의 피트니스센터 평생 회원권을 구입했는 데 폐업으로 인해 휴지조각이 되었다. 지금도 자다가 이불 차는 경우가 있고, 오렌지도 캘리포니아산을 먹지 않는다.

 

지난 5일, 이천수가 만취 운전자를 1km 따라가 잡았다는 뉴스가 나왔다. 이런 영웅적인 행동은 어떻게 나왔을까? 인터넷 뉴스의 댓글에는 칭찬이 대부분이지만 별것 아니라는 시니컬한 반응도 존재한다. 이천수는 “그 상황에선 누구든 그렇게 행동했을 것”이라며 겸손하게 말했다. 과연 그럴까?

 

110년 전, 시간의 섬광으로 되돌아가 보자. 1912년 4월 14일, 대서양 위에는 타이타닉호가 우아하게 떠 있었다. 2,206명의 영혼들과 함께 한 밤, 어두운 물결 속으로 사라졌다. 그날, 가슴을 저미는 것은 생존자들의 고귀한 비율이었다. 여성들의 우아한 실루엣은 74%, 어린 천사들은 52%의 높은 생존률을 보였으며, 남성들은 20%에 불과했다. 선장과 승무원들의 용감한 영혼들은 배와 그들의 운명을 거룩하게 안았다. 타이타닉은 ‘여성과 어린이 먼저(Women and children first)’라는 고귀한 버켄헤드 호의 전통을 부드럽게 이어갔고, 우리는 그렇지 못했다.

 

단 8년 전에 우리 땅의 강물은 슬픔으로 물들었다. 세월호 참사는 우리 가슴을 찢었다. 이는 안전에 대한 무디한 마음이 탄생시킨 비극이었으며, 생존자들의 비율은 가슴에 무거운 눈물을 흘리게 한다. 476명의 소중한 사람들 중 304명이 사라졌다. 생존자들 중 성인은 70%에 달했지만 어린이들은 겨우 23%에 불과했다. 선장이 가장 먼저 탈출하고 승무원들도 뒤따랐다는 사실은 가슴을 찢는 아픔이었다.

 

그렇다면 선진국과 후진국의 경계는 무엇인가? 그 기준은 단순한 경제력, 군사력, 정치력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장 아름다운 기준 중 하나는 ‘이웃에 대한 사랑’이다. 선진국에서는 사람들의 마음이 서로에게 따뜻한 정을 품고 있다. 눈이 마주치면 부드러운 미소로 인사하며, 문을 열고 공간을 내어주는 것은 사랑의 표현이다. '고마워, 미안해, 사랑해'라는 말은 그들의 입가에 부드러운 노래처럼 맴돈다. 여성, 어린이, 장애인에 대한 배려는 신성한 헌신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우리는 그렇지 않다. 엘리베이터를 6분 기다렸다고 화가 난 아파트 주민이 택배원의 짐수레를 발로 차며 욕설을 했다. 경제적 약자인 택배원은 생명줄과 같은 자신의 짐수레를 걷어찬 주민을 밀쳐내어 사망하게 한 사건도 있다. 서로에 대한 배려와 공감이 너무 없어 벌어진 안타까운 현실이다.

 

과거의 이천수는 악동 이미지가 강했다. 축구 실력은 천재적이었으나 말이 너무 앞섰다. “마음만 먹으면 여자를 100% 꼬실 수 있다”, “나는 베컴을 이길 수 있다” 등의 경솔한 발언으로 ‘입천수’라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아직도 이천수의 사건들이 회자되고 있을 정도로 수많은 사건·사고로 천재성을 잃어버린 비운의 인물이다.

 

‘우리 천수가 달라졌어요.’ 개인 유튜브 채널 ‘리춘수’를 보다가 이천수의 놀라운 면을 발견했다. 축구에 대한 엄청난 지식과 그를 바탕으로 한 예측들이 잘 들어맞았다. 문어 족집게로 유명한 이영표를 능가할 정도였다. 무엇보다 그의 따뜻한 인성에 푹 빠졌다. 과거 자신의 악행들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반성하는 모습이었다. 대부분의 사람은 바뀌지 않는데, 그는 그렇지 않았다.

 

이천수는 “그 상황이라면 누구나 그렇게 행동했을 것”이라고 했지만, 당시 도로에는 수많은 운전자가 있었다. 그중에서 이천수만이 용기를 내어 행동으로 옮긴 것이다. 우리는 이천수와 같은 사람을 영웅 혹은 이타적인 사람이라고 부른다. 이천수의 영웅적 행동은 우연의 결과가 아니다. 그의 인생에서 최악의 순간이 2012년인데, 그때 지금의 아내 심하은을 만났다. 아마도 이후 10년 넘게 악동에서 성자(聖者)의 삶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도 이타적인 사람이 아니었다. 예전에 프랜차이즈 사업에 성공해 도취되어 건방져졌다. 가맹점주들에게 무례하고 이기적인 모습을 보였다. 10년 전 사업의 몰락과 건강까지 잃어버려 최악의 상황이었다. 이후 스스로에 대해 반성하게 되었다.

 

이타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 최근 10년 넘게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 이타적인 사람으로 성장하려면 자기성찰, 공감 능력 향상, 자원봉사 활동 참여, 감사의 마음을 갖기, 자기 관리, 작은 친절을 실천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누군가에게 미소를 지어주거나, 문을 열어주는 것과 같은 간단한 친절을 몸에 익혀야 한다.

 

180도 변한 이천수처럼 우리도 누구나 이타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 정말 쉽고 간단하다. 매일, 순간마다 작은 친절을 실천하다 보면 어느 날 이웃을 위해 큰 사랑을 실천할 수 있다. 그것이 진정한 행복의 길이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