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칼럼] 제주의 질감 - 오대혁(시인, 문화평론가)

  • 비북강릉12.4℃
  • 흐림인제12.8℃
  • 흐림부안15.2℃
  • 구름많음정선군13.1℃
  • 흐림보은14.2℃
  • 흐림순창군15.1℃
  • 흐림청송군15.1℃
  • 흐림합천16.9℃
  • 흐림고창군15.6℃
  • 흐림강진군17.0℃
  • 구름많음제천14.5℃
  • 흐림파주10.8℃
  • 흐림의성15.7℃
  • 흐림철원12.5℃
  • 흐림금산14.7℃
  • 흐림부여13.6℃
  • 흐림진도군17.2℃
  • 흐림태백10.7℃
  • 흐림광양시19.0℃
  • 흐림보령13.5℃
  • 흐림광주16.4℃
  • 흐림여수19.7℃
  • 구름많음성산19.5℃
  • 구름많음백령도13.3℃
  • 흐림김해시18.5℃
  • 흐림장수13.8℃
  • 구름많음북부산18.8℃
  • 흐림동해14.3℃
  • 흐림정읍15.1℃
  • 흐림고창15.7℃
  • 흐림남원15.3℃
  • 흐림영천16.5℃
  • 구름많음제주20.6℃
  • 흐림흑산도16.5℃
  • 구름많음인천12.8℃
  • 흐림의령군16.5℃
  • 흐림서울14.3℃
  • 흐림상주15.9℃
  • 흐림함양군15.8℃
  • 흐림군산14.0℃
  • 흐림산청16.2℃
  • 흐림남해19.3℃
  • 흐림구미17.6℃
  • 흐림북춘천15.1℃
  • 흐림이천15.1℃
  • 흐림보성군16.9℃
  • 흐림울진15.5℃
  • 흐림밀양18.6℃
  • 흐림고흥16.3℃
  • 구름많음동두천12.5℃
  • 흐림영광군15.6℃
  • 구름많음영월14.0℃
  • 흐림서산13.0℃
  • 흐림대관령8.6℃
  • 흐림대전14.5℃
  • 구름많음서귀포23.3℃
  • 흐림영주15.3℃
  • 흐림순천14.5℃
  • 흐림속초12.3℃
  • 흐림문경16.1℃
  • 흐림세종14.0℃
  • 흐림완도17.4℃
  • 흐림원주14.8℃
  • 구름많음통영19.4℃
  • 흐림거창14.9℃
  • 흐림울릉도13.0℃
  • 흐림봉화12.8℃
  • 구름많음창원19.1℃
  • 흐림진주16.6℃
  • 흐림청주15.8℃
  • 흐림홍성13.9℃
  • 흐림거제19.3℃
  • 흐림부산18.3℃
  • 흐림홍천13.9℃
  • 흐림강릉13.2℃
  • 흐림춘천14.7℃
  • 흐림임실14.9℃
  • 흐림추풍령15.3℃
  • 구름많음북창원19.5℃
  • 흐림전주14.7℃
  • 흐림경주시16.6℃
  • 흐림양평15.3℃
  • 흐림서청주14.5℃
  • 흐림장흥17.1℃
  • 흐림수원13.2℃
  • 흐림영덕14.5℃
  • 흐림목포16.6℃
  • 흐림해남16.4℃
  • 흐림울산16.8℃
  • 흐림충주16.0℃
  • 구름많음양산시18.9℃
  • 흐림대구16.9℃
  • 구름많음고산19.6℃
  • 흐림강화11.3℃
  • 흐림안동15.8℃
  • 흐림천안14.3℃
  • 비포항17.9℃

[칼럼] 제주의 질감 - 오대혁(시인, 문화평론가)

/ 기사승인 : 2018-10-25 13:17:00
  • -
  • +
  • 인쇄

오대혁.JPG
 
 

시월 초순 찾아든 서울 혜화아트센터에서는 <살어리 살어리랏다-탐라-김미령>이 열렸다. 마지막 날에야 찾은 나에게 화가 김미령은 내 고향 제주의 참 면모를 온전하게 보여주고 들려주는 스토리텔러였다. 두껍게 바른 물감 너머에 돌, , 바람, 그리고 숱한 영혼이 웅숭깊게 자리하고 있었다. 반짝이는 유화는 푸르스름한 제주의 새벽 별빛들처럼 빛났다. 그의 표현처럼 그것들은 제주의 질감자체였다.

 

그는 <천지창조>, <천지인> 그림 앞에서 말했다. 제주는 한라산이다. 하늘의 빛을 온전하게 땅이 받아들여 흙나무동물사람들이라는 온갖 꽃을 피워낸다. 해바라기가 태양을 갈구하듯, 메마른 바위가 단비를 기다리듯, 모든 것은 사랑을 찾고 사랑을 주며 천지가 꽃으로 피어난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화엄법계(華嚴法界)가 떠오른다. “산과 물, 그리고 대지, 밝음과 어둠, 색상과 허공이 모두 미묘한 체[妙體]를 나타내는 것이요, 생사와 열반, 보리와 번뇌 모두가 미묘한 용[妙用]이어서 낱낱이 두루 가득하다. 그래서 취해서 가질 것도 없고 내다버릴 것도 없으며, 모자람도 없고, 남음도 없는 것이다.”(김시습, 연경별찬)

 

온갖 생명들이 서로에게 생명을 주고, 사랑을 나누며 혼연일체가 되어 살아가는 세상. 그것이 그가 말하는 살어리 살어리랏다의 세상이고, 제주가 그것을 온전히 담고 있다고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영실기암이며 선돌, 폭포를 품은 기암절벽 따위의 돌을 즐겨 그린다. 그런데 그 돌들은 메마르지 않다. 거칠고 단단하고 메마른 듯 보이는 그 속에 물기를 머금은 이끼가 자라며 새로운 생명을 틔워낸다. 그것은 겨우내 나목으로 단단히 휘두르고 있던 수피(樹皮)를 뚫고 연분홍 벚꽃을 피워 올리는 것과 같은 세계다. <뒤안길>, <3>에 등장하는 고사리 꺾는 제주 어머니들이 전쟁과 가난의 모진 삶도 기꺼이 이겨내며 자식들을 길러냈던 삶과 다를 바가 없다고 그는 말한다. 서른 즈음에 시작된 갈색, 황토색에 대한 강렬한 끌림 너머 이제는 그와 같은 깨달음에서 자색(紫色)이 많은 그림들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바람을 이야기했다. ‘새별 오름앞의 억새밭을 수놓는 바람, 푸른 보리밭에 나타난 바람, 온갖 바람은 제주의 영혼이 되어 흐르고 있음을 말했다. 그 바람과 함께하는 안개와 구름 등은 모두 물이요, 메마른 돌들에 생명을 불어넣는 영혼이다. 그의 그림 어디에도 바람이 흐르지 않는 데가 없다. 그리고 사람들에게도 바람이 있는데 그게 무언지를 내게 물었다. 그건 우리가 무언가를 바라는 것을 바람이라고 하듯, 우리의 소망과 꿈, 희망 같은 것이란다. ‘바람없는 제주가 없고, ‘바람없는 삶은 시든 삶이다.

 

김미령이 붙든 돌, , , 바람, 사랑 등은 제주의 질감이 되어 정말 제주다운 것이 무엇인가를 웅변하고 있었다. 우리가 지켜야 할 제주가 이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한글날 재경제주도민체육대회에 참석했던 원희룡 도지사도 지금 제주의 난개발 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있다고 했다. 잘 풀어야 한다. 김미령의 작품처럼 제주의 질감을 살려낼 길을 찾아 온전한 생명이 반짝이며 살게 해야만 한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