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절반 이상, “모은 돈으로 충당”… 가족지원·아르바이트 수입도 비중 커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지출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취업 준비 비용이 지난해보다 늘었다는 응답이 절반에 달하며,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는 ‘어학·자격증 취득비’가 꼽혔다.
진학사 캐치가 구직자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취업 준비 비용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43%가 “작년보다 늘었다”고 답했으며, “비슷하다”는 응답이 46%, “줄었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조사에 따르면 취준생의 월평균 취업 준비비는 약 28만 원으로 집계됐다.
세부 구간별로는 ▲10~30만 원(44%)이 가장 많았고, ▲10만 원 미만(23%) ▲30~50만 원(22%) 순이었다. 이외에도 ▲50~100만 원(8%) ▲100만 원 이상(3%)을 지출한다는 응답도 있었다.
진학사 캐치는 “생활비와 교통비 등을 제외한 순수한 ‘취업 준비비’만으로도 30만 원 안팎의 지출이 발생한다는 점은 청년층의 체감 부담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가장 부담이 큰 항목으로는 ‘어학·자격증 취득비(29%)’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카페·스터디룸 등 공간 이용료(22%) ▲학원·강의 수강료(22%) ▲면접비(10%) ▲학습 물품비(8%) ▲취업 컨설팅(7%) ▲대외활동·동아리비(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토익 등 어학시험과 자격증 취득 관련 비용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자기계발비의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다.
취업 준비비를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모아둔 개인 자금(63%)’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의 지원(47%) ▲아르바이트·인턴 수입(45%) ▲정부 보조금(18%) ▲장학금(4%) ▲대출(3%) 순이었다.
한편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해 묻자, 응답자 42%가 “취업 관련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세부적으로는 ▲식음료(82%)가 가장 높았고, 이어 ▲보건·의료(29%) ▲학습·교육(28%) ▲패션·뷰티(19%) ▲미용·생활(17%) ▲운동·스포츠(15%) 순으로 나타났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취업 준비비가 늘어난 이유는 단순한 물가 상승이 아니라 청년층이 체감하는 고용 불안과 경쟁 심화가 함께 작용한 결과”라며, “캐치는 부담 없이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취업공간과 콘텐츠를 전면 무료로 개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